You are currently viewing 시놀로지 NAS 이중화하기

시놀로지 NAS 이중화하기

이중화는 나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게 목적입니다. 나스가 고장 나면 나스에 들어있는 파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업무에 지장을 주게 되는데요. 나스를 두 대 설치하고 내용을 똑같게 유지하면 한 대에 고장이 생겨도 나머지 한 대로 업무를 계속 볼 수 있습니다. 나스를 365일 끊임없이 사용해야 하는 환경이라면 이중화가 도움이 됩니다. 

이중화를 사용하려면 동일한 모델의 나스가 두 대가 필요합니다. 두 대의 나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같아야 합니다. 나스에 장착한 디스크의 위치와 개수가 같아야 하고, LAN포트의 개수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DSM 버전과 Synology High Availability 패키지의 버전도 같아야 합니다. 두 대의 나스를 동시에 구매해서 처음부터 이중화를 구성하면 이런 조건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데요. 한 대만 사용해 오다가 이중화를 구성할 때는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이중화하는 과정

DSM 설치하기

나스 두 대 모두 DSM(운영체제)을 설치합니다. DSM 버전은 동일해야 합니다.

DSM을 설치합니다.

스토리지 풀 생성하기

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생성합니다. 스토리지 풀을 생성할 때 RAID 유형은 SHR 또는 SHR-2는 선택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 유형은 이중화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스토리지 풀과 볼륨은 ‘고가용 클러스터 생성’을 시작하는 나스에만 만들면 됩니다. 클러스터를 생성하면 나머지 나스의 데이터는 모두 지워지기 때문에 굳이 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SHR과 SHR-2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정 IP 설정하기

LAN 포트의 역할은 두 가지입니다. 클러스터 인터페이스와 Heartbeat 인터페이스인데요. 클러스터 인터페이스는 허브와 연결하고, Heartbeat 인터페이스는 나스끼리 직접 연결합니다. 속도가 빠른 LAN 포트를 Heartbeat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클러스터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LAN 포트는 고정 IP로 설정해야 합니다. 제어판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두 대 모두 LAN 포트 1 또는 두 대 모두 LAN 포트 2)를 고정 IP로 설정합니다.

클러스터 인터페이스는 허브와 연결하고, Heartbeat 인터페이스는 나스 간에 직결합니다.
나스 두 대 모두 고정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클러스터 생성하기

나스 두 대 모두 SHA(Synology High Availability)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HA의 버전은 같아야 합니다. SHA를 실행하고 마법사를 진행하면 클러스터 생성이 완료됩니다.

마법사 과정 중에 클러스터 IP 주소를 입력하는 단계가 있습니다. 여기에 입력한 IP 주소가 앞으로 나스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IP 주소입니다.

나스 두 대 모두 SHA를 설치합니다.
클러스터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클러스터 생성이 끝났습니다.
현장에 설치한 DS923+ 두 대입니다.
참고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