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에서 컴퓨터로, 컴퓨터에서 나스로 파일을 복사하는 속도가 느립니다. 속도가 초 당 1MB정도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일주일 전부터 이런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소요시간 : 1시간 10분
어려움 :
2/5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컴퓨터를 찾아서 랜선을 분리함.
컴퓨터가 100대 정도 되는데요. 그 중 어느 한 컴퓨터에서 과도한 트랙픽을 발생시켜서 전체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졌습니다. 나스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컴퓨터의 랜선을 하나씩 분리하면서 원인이 되는 컴퓨터를 찾아냅니다.
우선 네트워크 장애시에 하는 공통질문을 합니다. 답변을 듣고 원인이 되는 범위를 좁혀 나갑니다.
첫 번째. 최근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기(컴퓨터, 프린터, 인터넷 전화)를 추가 하였나요? 인터넷 장비(공유기, 스위치)를 교체, 추가 하였나요? 랜선을 교체, 추가 하였나요? 답변은 모두 “아니오”입니다. 답변에 “예”가 있을 경우에는 그 부분을 먼저 살펴보면 됩니다.
두 번째. 나스 접속이 느린 증상이 일부 컴퓨터에서 발생하나요? 아니면 모든 컴퓨터에서 발생하나요? 답변은 “모든 컴퓨터”입니다. 모든 컴퓨터가 동시에 고장날 확률은 희박합니다. 그러므로 컴퓨터는 원인에서 제외시킵니다.
세 번째. 네이버, 다음, 구글은 접속이 잘 되나요? 답변은 “거기도 잘 안 됩니다”입니다. 나스 접속 뿐만 아니라 인터넷도 느리다면 나스 자체의 문제일 확률도 낮습니다. 무언가가 나스 접속을 느리게 하고, 인터넷(네이버, 다음, 구글)접속도 느리게 하고 있는 것입니다.
컴퓨터와 나스가 원인이 아니라면, 남아 있는 원인은 네트워크 문제 밖에 없습니다.
네트워크 점검은 ping 명령어로 시작을 하죠. 노트북에서 nas로 ping을 합니다. 응답시간이 수십~수백ms 나옵니다. LAN에서는 보통 1~2ms정도 나와야 정상입니다.
스위치가 6~7개 정도 되는데요. 스위치의 연결을 하나씩 끊으면서 ping 응답시간이 정상으로 돌아오는지 확인합니다. 정상으로 돌아오는 스위치를 찾았으면 이제는 그 스위치에서 컴퓨터로 가는 랜선을 하나씩 제거하면서 ping 응답시간이 정상으로 돌아오는지 확인합니다. 최종적으로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컴퓨터를 찾아냅니다.